※ 해당 문제는 모든 유저에게 발생하지 않으며, 시스템 스펙의 차이에 따라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.
※ 하기 설정을 변경하여 동일 한 문제가 해결이 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며, 새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니 참고해주시기 바랍니다.
 

- 문제

윈도우 부팅시마다 네트워크가 '네트워크 2'로 이름이 잡히며 제한된 네트워크로 설정되어 인터넷 연결이 안됨

 


- 임시 해결방법

장치관리지에서 네트워크 어댑터를 '사용안함'으로 변경했다 다시 '사용함' 으로 변경하면 정상화

 

하지만 이런 방법으로는 WOL 사용으로 외부에서 원격 접속등을 하고 싶어도 접속을 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하게 되고,
무엇보다 짜증나죠 (...) 컴퓨터 켤때마다 뭔가 불편하게 작업을 하나씩 해야한다니.. 할대마다 혈압이 오릅니다..

 


- 실패한 해결 방법 들

 

가. 서비스 항목 중 'DNS Clinet'를 사용 안함으로 변경
 - 윈도우7 또는 8에서 해당 서비스 때문에 부팅시 인터넷 연결 지연이 있다고 하여 종료 해 보았지만 해결 안됨


나. 어도비 프로그램 또는 아이튠즈 관련 봉쥬르 서비스 삭제
 - 설치한게 없어서 해당 안됨.

 

다. 리얼텍의 윈도우10용 네트워크 어댑터 드라이버 설치
 - 팁게의 WOL 관련 글에 윈도우 8.1 용 드라이버를 먼저 설치했을때 문제가 생겨,
   드라이버 문제인가 해서 아질게에서 답을 구해서 윈도우 10 용 설치 하였으나 해결은 안됨,
   오히려 블루스크린 현상등이 가끔 발쌩하여, 다시 8.1 용으로 롤백 함

 

- 최종적 해결 방법

 

[ 제어판 > 전원 옵션 > 시스템 설정] 항목에서 [종료 설정 > 빠른 시작 켜기(권장) ] 을 해제

 

※ 해당 항목이 설정을 변경하지 못하게 비활성화된 경우 동일 화면의 상단의 관리자 아이콘으로 설정된

[ 현재 사용 할 수 없는 설정 변경 ] 클릭 후 진행


일단 해당 방법을 적용 한 후에는, 컴퓨터 종료하고 자고 일어나서 컴퓨터를 부팅해도 문제가 없었습니다.
적용 이전에는 컴퓨터를 완전 종료 후 부팅을 하면 어김없이 문제가 발생했는데 해결이 된거 같아서 시원하네요.

 

덤으로 팁게에 있는 부팅시 'Num Lock' 적용도 위 문제를 해결하기 전에는 레지스트리 적용을 해도 해결이 되지 않던게,
부팅시 인터넷 접속 문제를 해결하니 같이 해결 되었습니다.

 

윈도우의 구조를 지식으로 완전히 이해하고 해결한건 아니라 논리적 기반을 제시하지 못하는게 좀 아쉽긴 한데,
동일한 문제가 있으신 분들은 참고 하시면 좋을거 같습니다.

 

참고로 제 시스템의 사양을 간략하게 적으면 [ C2D 6600 , Gigabyte P35-DS3R , Intel SSD, AMD Radeon 7750, Ram 6Gb ] 입니다.

 

 

※ 추가 내용

 

전문가인 지인이 본 글을 읽고 이야기 해 준 내용입니다.

 

문제가 되는 설정인 빠른 부팅의 경우, 활성화 하면 시스템 셧다운이 하이브리드 하이버네이션으로 되어서, 장치 드라이버가 초기화 되지 않아서 생기는 문제라고 합니다.

 

이 경우 유,무선 네트워크 및 블루투스 장치에서 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가 많으며, 노트북 사용자가 절전 모드로 들어갔다 재사용시 무선랜이 죽어버리는것도 해당 설정의 문제라고 합니다.

반응형
Posted by 미니도라
,