Fluentd를 이용한 로그 수집 서버 구성(우분투 YUM 설치)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이번엔 RPM 보다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YUM에 대해서 배워보겠습니다.
YUM 은 Yellowdog Updater Modified 라는 약자로 Duke university 에서 rpm 명령어에 대한 개선 방안으로 제작한 명령어입니다.
YUM 은 기존에 rpm 명령어가 .rpm 파일에 대한 의존성이 심한 것을 확 낮추었습니다.
바로 인터넷을 통하여 관련된 패키지를 자동으로 다운로드하여 설치하는 방식입니다.
YUM 의 옵션에는
install = 설치
check-update = 업데이트 가능한 목록 확인
update = 패키지 업데이트
remove = 패키지 삭제
search = 인터넷에서 패키지 설치가 가능한지 확인.
info = 패키지 정보 확인
list = 해당단어가 포함된 패키지 목록 확인.
그리고 보통 install 앞에 -y 옵션이 하나가 더 붙는데 패키지 파일을 설치할 때는 각 패키지 마다
사용자 확인을 하는데 -y 옵션은 모두 yes로 치부하고 설치를 진행합니다.
해당 명령어도 실습은 따로 하지 않겠습니다.
다음에 제가 설치할 패키지가 생기면 그 때 실습하는 모습을 따로 올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.
[출처] 리눅스 YUM 명령어|작성자 SLiya
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=
YUM 이 없을 경우에는 YUM 을 설치한다.
sudo apt-get install yum
sudo su 를 이미 해 두었다면 앞의 sudo 는 생략 가능